TTL (Transistor-Transistor Logic) 신호의 정의
● 트랜지스터와 트랜지스터를 조합한 논리회로, DTL(Diode-Transistor Logic)의 다이오드 대신에
트랜시스터를 사용, 컴퓨터 제어 가장 많이 사용된다.
● 컴퓨터에 사용되고 있는 기본적인 회로이자 트랜지스터 회로이다. DTL의 다이오드 대신에 멀티
이미지 트랜지스터를 사용한것으로 , IC구성이 간단하고 저전력 고속동작의 장점이 있음
● 양극현 논리소자의 한종류, 논리소자는 입력측에서 신호가 들어오면 어떤 조건에 따라 출력측에서
신호가 나오도록 만들어진 회로. TTL의 원리는 비교적 간단하고 취급하기가 쉬워서 PC등에 폭넓게 사용된다.
● ECL(Emitter Coupled Logic)이 대표적인 양극형 논리소자

● TTL의 단점
보통 TTL 신호는 에너지가 너무 작아서 멀리 보낼 수 없고 보내더라도 간섭이나 노이즈에 영향을 잘 받는다.
● TTL 규격
TTL은 0V ~ 5V (또는 3.3V)를 사용한다.
사용하는 핀은 VCC, Tx, Rx, GND 4개의 핀으로 구성되어 있다.
'HARDWAR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전기.전자] 홀효과 (Hall Effect) (0) | 2019.12.01 |
---|---|
LVDS(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) 고속 시리얼 전송 인터페이스 (0) | 2019.12.01 |